열왕기 후서

이스라엘의 몰락

2 Kings 책은 히브리 성경과 기독교 옛구약의 왕들의 책 중 4번째 책이다. 아하시야 왕부터 시작하여 이스라엘과 유다의 왕들의 이야기를 이어가며, 유다 왕국이 바빌로니아인에게 무너지는 사건으로 마무리된다. 이 책은 하나님의 계명을 따르는 선한 왕들과 하나님을 떠난 악한 왕들의 이야기를 포함하며, 이스라엘과 유다 백성에게 그들의 불복종을 경고하고 하나님께로 돌아오라고 부르기 위해 하나님에 의해 보내진 선지자 엘리야와 엘리사의 이야기도 담겨 있다. 이 책은 유다 왕국이 바빌로니아인에게 무너지는 사건과 이스라엘 백성들이 바빌론으로 추방되는 사건으로 끝나며, 아하시야, 여호람, 예후, 요아하스, 여호야긴, 세데기야 등 주요 인물이 등장한다. 또한, 이 책에는 왕들을 위한 조언자이자 지도자로서 섬기던 선지자와 제사장들 등 다른 다양한 인물들에 대한 언급도 있다.

열왕기 후서 - 이스라엘의 몰락
열왕기 후서 - 이스라엘의 몰락

열왕기 후서

이스라엘의 몰락

60 25 900-850 BCE

2 Kings의 책은 히브리 성서의 일부인 신명기사 2부작중의 제2부작인데, 다윗 왕의 죽음부터 바벨론 포로가 되기까지 이스라엘과 유다의 왕들의 역사를 서술한 서술서입니다. 이 책은 이스라엘 왕들의 통치를 다룬 첫 부분과 유다 왕들의 통치를 다룬 둘째 부분으로 나뉩니다. 2 Kings의 책은 다윗 왕의 죽음과 그의 아들 솔로몬의 왕위 계승으로 시작됩니다. 솔로몬은 지혜롭고 공정한 통치자로 묘사되며, 예루살렘에 성전을 건설하고 왕국에 평화와 번영을 가져오는 인물로 그려집니다. 그러나 솔로몬의 죽음 이후, 왕국은 이스라엘과 유다 두 부분으로 나눠지고, 각 왕국의 왕들은 서로 종족적인 갈등을 겪게 됩니다. 2 Kings의 책은 아합, 예후, 여호아하스, 여호아쉬, 여로보암 2세, 히스기야 등 이스라엘과 유다 왕들의 통치를 역사적으로 기록합니다. 또한 722년 기원전 아시리아인들에게 이스라엘 북부 왕국의 멸망과 586년 기원전 바벨론인들에게 유다 남부 왕국의 멸망도 함께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 책은 이스라엘과 유다 왕들이 신과의 언약에 충실하느냐에 따라 심판을 받는 내용을 전해줍니다. 충실한 자들은 평화와 번영으로 보답을 받지만, 불신앙한 자들은 파멸과 망명으로 벌을 받게 됩니다. 2 Kings의 책에는 이스라엘 북부 왕국이 파멸될 것이라는 엘리야의 유명한 예언을 비롯한 여러 선지예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2 Kings의 책은 이스라엘과 유다 왕들의 역사와 그들과 신과의 관계에 대한 상세한 기록을 제공하여 성서의 중요한 부분으로, 하나님의 명령에 복종하지 않는 것의 결과와 언약에 충실함의 중요성을 상기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모든 장 탐색하기 열왕기 후서.

엘리야가 아하시야를 견제한다

열왕기 후서 1

2 18

제호사밧이 유다 왕이 되어 주를 따르는 바람에 평화와 풍요로운 시기가 시작된다.

엘리야의 승천과 엘리샤의 요청

열왕기 후서 2

3 25

엘리야가 회오리바람 속에서 하늘로 올려가고 엘리사가 선지자로서 일을 이어받았다.

모압이 이스라엘에 반기를 들다

열왕기 후서 3

3 27

모압이 이스라엘에 반역하자 이스라엘 왕 여호람은 유다 왕 여호사밧의 도움을 구한다.

엘리사와 과부의 석유

열왕기 후서 4

4 44

엘리사는 많은 기적을 보여주는데, 매우 적은 양의 음식으로 많은 사람들을 먹이고 독성이 있는 국을 치유하기도 합니다.

나아만의 치유

열왕기 후서 5

3 27

나아만은 레바논 개얍 암몬이라는 땅의 아람 군의 장관이었는데, 엘리사의 치료로 나아만의 나병이 나으며 그는 주를 믿게 된다.

떠다니는 도끼 머리

열왕기 후서 6

3 33

엘리사는 물속으로 떨어진 도끼를 떠오르게 하여, 자연에 대한 그의 능력을 나타내었습니다.

사마리아의 고립 해제

열왕기 후서 7

2 20

주는 엘리사의 예언을 통해 사마리아를 포위한 것을 해소하고 도시에 풍족한 축복을 내렸다.

이스라엘에서 여호람의 통치와 사망

열왕기 후서 8

3 29

제호람이 이스라엘의 왕이 되어 백성을 우상 숭배로 이끌다가 괴로운 죽음을 맞이한다.

이스라엘 왕으로 부명받은 예후

열왕기 후서 9

4 37

제후는 선지자 엘리사의 아들 중 한 명에 의해 이스라엘의 왕으로 기름을 부어받았습니다.

여호의 아합 집의 정화

열왕기 후서 10

4 36

제후는 아합의 집을 폭력적으로 정화하며 왕가의 남은 구성원을 모두 제거합니다.

아달리아를 뒤집다

열왕기 후서 11

2 21

아달리야가 유다 왕국 왕이 되어 우상 숭배를 촉진하다가 결국 역정을 받고 죽음에 이른다.

사원 수리

열왕기 후서 12

2 21

요아슈가 유다 왕이 되어 개혁을 실시하며 성전을 수복하고 우상 숭배를 제거합니다.

이스라엘에서 예호아하스의 통치

열왕기 후서 13

3 25

제호아하스가 이스라엘 왕이 되어 백성을 우상 숭배로 이끈 후, 고통스러운 죽음을 맞이합니다.

유다의 아마샤 왕국

열왕기 후서 14

3 29

아마샤가 유다 왕이 되어 개혁을 이루며 에돔 사람들을 전투에서 패배시킴.

아사리야, 요담, 아하스, 히스기야의 왕위

열왕기 후서 15

4 38

아사랴는 유디야의 왕이 되고 개혁을 실시하지만 교만해져 나병에 걸린다.

호세아의 통치와 사마리아의 몰락

열왕기 후서 16

2 20

호세아는 이스라엘 왕이 되어 백성을 우상 숭배로 인도하며, 결국 사마리아가 앗수르 인들에 의해 함락되는 것을 일으켰다.

이스라엘의 아쉬리아 유배

열왕기 후서 17

4 41

이스라엘 백성들은 그들의 우상 숭배와 복종으로 인해 처벌으로 아쉬리아로 추방되었습니다.

히스기야의 유다 왕국 통치

열왕기 후서 18

4 37

헤스기야가 유다 왕이 되어 아이돌 숭배를 제거하고 성전을 수리하는 등 개혁을 실시합니다.

세나케리브의 유다 침공

열왕기 후서 19

4 37

사삽에게 이스라엘을 침략하였으나 결국 패배하였습니다.

히스기야의 병과 구원

열왕기 후서 20

2 21

히스기야가 병들어 이사야 선지자를 통해 하나님에 의해 죽음에서 구원받는다.

유다에 있던 므낫세의 통치

열왕기 후서 21

3 26

마나세는 유다 왕이 되어 백성들을 큰 악으로 이끌었고, 그에는 우상 숭배와 아이 희생이 포함됩니다.

유다에서 요시야의 개혁

열왕기 후서 22

2 20

요시야는 유다 왕이 되어 여러 방대한 개혁을 이루며 우상 숭배를 제거하고 성전을 수리합니다.

법의 서적 발견

열왕기 후서 23

4 37

법의 책이 성전 수리 중 발견되어 추가 개혁과 신앙 부흥으로 이어진다.

유다의 바빌로니아 포로 생활

열왕기 후서 24

2 20

2 왕 24 장 요약: 바벨론 왕 넵바드네살이 유다를 정복하고 그 시민들을 바벨론으로 추방했습니다.

예루살렘의 멸망과 왕국의 종말

열왕기 후서 25

3 30

요약: 예루살렘이 파괴되고 유다 왕국이 종말을 맞이하며 남아 있는 시민들이 바빌론으로 추방되었다.